BTC -0.34%
$61,706.62
ETH -1.08%
$3,380.76
SOL -0.99%
$138.17
BNB -0.72%
$573.90
XRP -1.13%
$0.47
DOGE -2.52%
$0.12
SHIB -3.48%
$0.000017
PEPE -2.94%
$0.000012
위너AI($WAI)
프리세일 진행중

대한민국 1,450만 달러 규모의 블록체인 지원 프로그램 발표

| 1 min read
면책조항: 이 기사를 투자 조언으로 받아들여서는 안됩니다. 암호화폐는 변동성이 큰 투자상품이기 때문에 투자 전 자체적인 조사를 수행하시기 바랍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블록체인 지원 사업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파이낸셜뉴스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은 공공 서비스를 위한 공공 부문 6개 프로젝트와 상용화를 지원하는 민간 부문 8개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총예산은 200억 원, 약 1450만 달러일 것이다.

국내 블록체인 혁신 지원


프로젝트에는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기반 디지털 바우처, 디지털 배지, 온라인 국민투표, 배터리 잔량 인증 서비스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한국은행의 CBDC 기반 디지털 바우처 관리 플랫폼은 이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게 된다. 이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바우처 프로그램을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디지털 결제의 효율성과 접근성이 향상될 것이다.

또한 한국고용정보원은 디지털 배지 기반의 통합 취업 지원 서비스를 개발해 일자리 매칭과 기술 검증 절차를 간소화할 예정이다.

또 다른 주목할 만한 공공 프로젝트는 법무부의 전자 공증 절차 간소화 및 디지털화이다. 이 이니셔티브는 서류 작업을 줄이고 법적 절차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엄열 정보통신정책관은 “디지털 배지와 같은 블록체인 지원 사업은 공공 데이터 서비스 확대를 위한 디지털 플랫폼 정부 정책과도 부합하는 사업”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다양한 프로젝트


민간 분야에서는 다양한 혁신 프로젝트가 지원된다. 예를 들어 씨피랩스(CP Labs)는 블록체인 지원 포털 플랫폼을 개발하고, 오아시스비즈니스는 소상공인을 위한 맞춤형 재무관리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안랩 블록체인컴퍼니는 API 연동을 통한 전자지갑 서비스를 개발하고, 농협은행은 P2P 투자 사업자를 위한 토큰 증권 발행 플랫폼을 만들 예정이다.

엄열 대표는 “블록체인 기술은 현재 모바일 신분증, 온라인 투표, 티켓 스캘핑 방지 등 금융 분야를 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만큼, 국민들이 체감하고 글로벌 시장에 선보일 수 있는 혁신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함께 읽을 만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