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팅 내에서 USDT 전송 기능 탑재하며 암호화폐 서비스 확장한 텔레그램 – 암호화폐 채택 급증하나

디지털 화폐의 세계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톤(TON) 블록체인은 텔레그램 사용자가 메신저 채팅을 통해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테이블 코인인 테더(USDT)를 전송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을 도입했다.
이 소식은 톤 블록체인에 의해 트위터에 올라왔고, 팀은 이렇게 설명했다. "이제 상상하던 것처럼 메시징 앱을 통해 암호화폐를 사고 팔 수 있다.“ 있다며 지갑에 대한 링크를 공개했다.
텔레그램, USDT를 @Wallet Bot에 통합해 편리성과 접근성 향상
톤 블록체인의 벤처 캐피털 회사이자 에코시스템 구축업체인 First Stage Lab의 Kirill Malev 파트너는 최근 톤 커뮤니티에 대한 흥미로운 소식을 트위터를 통해 공유했다.
그는 인기 있는 인스턴트 메시징 앱인 텔레그램이 USDT를 @wallet 봇에 통합하여 사용자가 네이티브 톤 코인과 함께 스테이블 코인을 친구에게 보낼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 새로운 기능은 톤 사용자에게 더 큰 편의성과 접근성을 제공하며 암호화폐 기능 확장에 대한 플랫폼의 지속적인 노력을 보여준다.
이제 사용자가 텔레그램 채팅 상자에서 USDT 알트코인을 선택하여 동료 또는 친구에게 직접 즉시 송금할 수 있다.
그러나 디크립토에 따르면 텔레그램은 현재 트론 블록체인인 TRC20에서 USDT 실행만 지원한다.
말레브는 지갑을 통해 사용자가 USDT TRC-20 토큰을 변환하여 톤을 구매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말레브는 이 최신 개발은 이론적으로 업계에 긍정적이어야 한다며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이 소식은 암호화폐 사용이 확장되는데 기여를 한 큰 진전이다. [...] 톤 블록체인 커뮤니티의 주요 마일스톤일 뿐만 아니라 암호화폐와 사용자 간의 격차를 해소하는 중요한 단계이기도 하다. 이제 우리 모두는 암호화폐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암호화폐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쉽게 *보여줄* 수 있다."
그는 또한 새롭고 다양한 유형의 거래, 쇼핑 및 크라우드펀딩을 포함하여 이 텔레그램/USDT 사용의 시작으로 인해 발생하게 될 몇 가지 가능한 변화들을 언급했다.
디맨드 세이지(Demand Sage)에 따르면 텔레그램은 월간 활성 사용자 수가 7억 명에 달하며 연말까지 10억 명 이상으로 사용자 수가 증가할 것이 예상된다.
사용자 수는 2018년 이후 175% 증가했다. 2023년 기준으로 일일 활성 사용자 수는 5520만 명이다.
한편, USDT는 시가총액(780억 달러)당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이며, 전체 암호화폐 중에서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암호화폐이다.
처음에는 네트워크를 무시했지만, 텔레그램을 지휘하는 파벨 두로브(Pavel Durov)는 작년에 글로벌 스테이블 코인으로 만들겠다는 자신의 비전을 누르고 구축된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톤 팀의 노력을 칭찬했다.
톤(TON)의 리브랜딩 및 암호화폐 기능성 확장
2020년, 미국 규제 당국은 파벨 두로브의 텔레그램 오픈 네트워크 톤 프로젝트에 큰 타격을 입혔고, 규제 당국은 결국 그 프로젝트를 포기하도록 만들었다.
그러나 The TON Foundation으로 알려진 독립적인 개발자 및 커뮤니티 구성원 그룹이 이 프로젝트의 목적을 변경하고 The Open Network로 프로젝트 이름을 변경했다.
이렇게 계속 반복되었던 톤 프로젝트는 원래의 그램 코인을 대체해 기본 통화로 톤 코인이 선정되도록 기여했다.
최근 성명에서 두로브(Durov)는 사용자 이름, 이모티콘 및 기타 앱 기반 자산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시장을 출시할 텔레그램의 잠재적인 미래 계획을 암시했다.
그는 블록체인에서 NFT(Non Fungible Token)와 같은 스마트 계약을 통해 사용자 이름 소유권을 확보하는 이점을 강조하면서 톤 프로젝트와 톤 코인이 시장에 가장 적합한 네트워크 및 통화 선택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여기에 톤 개발자들은 2022년 10월 P2P(Peer-to-Peer) 시장을 시작한다고 발표했고 결국 텔레그램 사용자가 메시징 플랫폼에서 톤 코인(Ton Coin)을 직접 거래할 수 있게 했다.
이 새로운 기능을 통해 사용자들은 거래의 보증인 역할을 하는 지갑 서비스를 통해 서로 암호화폐를 사고 팔 수 있다.
이러한 개발은 톤의 암호화폐 기능의 상당한 확장을 만들었다. 또한 텔레그램이 사용자를 위한 새로운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를 탐색하기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 볼 수 있다.
____